Super Coding Addict
210113 WED - 파이썬 기본문법(4) 본문
* 함수 - return
- 함수의 수행을 중지하고 return 뒤에 있는 값을 반환
- 함수정의 :
def 함수이름(변수1, 변수2) :
return 데이터
- 함수호출 :
결과 = 함수이름(변수1, 변수2)
===> 결과에는 함수호출 시 return으로 반환받은 값이 들어간다.
- 예제
def 상한가(price)
result = price * 1.3
return price
print(3) #return을 하면 호출한 곳으로 리턴값으로 돌아가므로 여기는 실행X
result = 상한가(1000)
print(result) # 1300.0
- 함수 사용시 주의사항들
: 함수 외부의 변수를 함수 내부에서 사용X
: 함수 내부에 사용된 변수를 함수 외부에서 사용X (아예 전역변수로서는 define도 되지 않는다)
==> 함수에서 계산된 결과를 사용하려면 return으로 값을 반환!
* 네임스페이스 : 변수의 이름이 존재하는 장소
- 지역, 전역, 내장이라는 세 종류의 네임 스페이스가 존재
- 전역변수 : 전역공간에 정의되어 프로그램 어디서든 부를 수 있음
- 지역변수 : 특정 영역에서만 사용가능, 함수가 실행될 때 새롭게 만들어지고 함수 실행이 종료되면 삭.제.!!!
- 인터프리터는 지역-> 전역 -> 내장(built-in) 순서로 이름을 찾는다.
- 예제
a = 1
b = 2
def foo():
a = 3 # 이 함수 안에서 a는 3
h = a + b # a는 지역변수 3, b는 전역변수에서 가져와서 2
return h # 3 + 2 = 5
ret = foo()
print(ret) # 5
print(a) # foo()함수 종료되어 지역변수로 정의된 a는 소멸, 전역변수 a를 출력하므로 1